5 고객센터 - 고객제일주의 높은 배당성향을 유지함으로 진정한 의미에서 주주가치를 높여 드리겠습니다.

고객센터

  • 스피드콜센터 입니다.
  • 원클릭상담 입니다.
  • 상속인금융거래 조회서비스 안내
  • 상장법인지분 정보센터
  • 상품공시실
  • 법인금융거래조회
  • 서민금융 1332 서비스
  • 자본시장 통계 Portal

공지사항

공지사항 입니다.

글 읽기
제목 보이스피싱 대응 요령 안내
작성자 디지털혁신부 작성일 2023년 08월 16일 조회 44561
첨부


보이스피싱 피해시 대응요령

01. 피해신고 및 지급정지 요청
경찰(112), 금감원(1332), 금융회사에 피해신고 및 지급정지 요청

02. 개인정보 노출등록
개인정보 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 (http://pd.fss.or.kr) 사고등록

03. 계좌 일괄 지급정지 신청
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(www.payinfo.or.kr) 및 금융회사 영업점에서 일괄지급정지

04. 명의도용 신고
명의도용방지서비스(www.msafer.or.kr)에 명의도용 신고로 휴대전화 개설 방지

05. 악성앱 삭제 및 휴대전화 초기화
악성코드 감염시 바로 삭제 및 휴대전화 초기화

06. 피해사례 공유
보이스피싱지킴이 사이트에 접속하여 피해사례 공유

금융감독원, 은행연합회, 금융투자협회, 저축은행중앙회, 여신금융협회, 농협중앙회, 신협중앙회, 한국대부금융협회, MG새마을금고중앙회, 신용정보협회, 수협중앙회


보이스피싱 피해발생시 즉시 대응조치

▶ 보이스피싱 전화 또는 문자를 받고, 피싱 사기범에게 이체·송금, 개인정보 제공 또는 악성앱이 설치된 경우 다음과 같이 대응

1. 입금 금융회사 또는 송금 금융회사 콜센터 즉시 전화하여 계좌지급정지신청(경찰청112 및 금감원1332에서도 연결 가능)
2. 신분증, 계좌번호 등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, 의심스러운 URL 접속으로 악성앱 설치가 의심되는 경우 다음 절차대로 신속 조치
[이체·송금 피해가 있을 경우 실시]

2-1. 금융회사 피해신고 및 악성앱 삭제
■ 유출된 개인정보 관련 금융회사에 피해신고하고 지급정지 조치
■ (악성앱 설치 시) 휴대전화 초기화나 악성앱 삭제
[초기화 전까지 휴대전화 전원을 끄거나 비행기모드 전환]

2-2. 개인정보 노출사실 등록
■ 금감원 개인정보 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(pd.fss.kr)접속
■ 이용약관, 개인정보제공 등 동의 후 휴대전화 인증으로 본인 확인
■ 개인정보 노출사실을 등록하여 신규계좌 개설, 신용카드 발급 등 제한
[다른 휴대전화 및 PC 사용을 권장]

2-3. 내 계좌 지급정지(일괄 또는 부분) 신청
■ 금융결제원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(www.payinfo.or.kr)접속
■ '내계좌 지급정지' 메뉴에서 은행권, 제2금융권, 증권사 클릭
■ 공동인증서 및 휴대전화 인증(2중 인증)으로 본인 확인
■ 지급정지를 신청할 계좌를 선택 후 지급정지 신청
★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고객센터(전화)를 통해서도 지급정지 신청 가능
[다른 휴대전화 및 PC 사용을 권장]

2-4. 명의도용된 휴대전화 개설 여부 조회
■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명의도용방지서비스(www.masafer.or.kr)접속
■ 공동인증서 등으로 로그인
■ 가입사실현황조회 서비스 메뉴 클릭하여, 본인명의로 개설된 휴대전화 개설 사건여부를 확인
■ 명의도용 휴대전화가 개통된 경우, 즉시 해당 이동통신사 등에 회선해지 신청 및 명의도용 신고
■ 가입제한 서비스 메뉴 클릭하여, 본인명의 휴대전화 신규개설 차단

3. 경찰서(사이버 수사대)에서 발급한 사건사고사실확인원 등 증빙서류와 함께 지급정지 신청한 영업점에 피해구제신청 서면접수(신청일 3일 이내)
[필요서류는 방문 전 금융회사 또는 경찰서 문의]

※ 즉시 대응조치를 시행한 이후, 금융회사 및 경찰 안내 등에 따라 인증서 폐지·재발급, 신분증 분실신고 등 필요한 추가조치를 실시

금융감독원보이스피싱 피해발생시 즉시 대응조치

▶ 보이스피싱 전화 또는 문자를 받고, 피싱 사기범에게 이체·송금, 개인정보 제공 또는 악성앱이 설치된 경우 다음과 같이 대응

1. 입금 금융회사 또는 송금 금융회사 콜센터 즉시 전화하여 계좌지급정지신청(경찰청112 및 금감원1332에서도 연결 가능)
2. 신분증, 계좌번호 등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, 의심스러운 URL 접속으로 악성앱 설치가 의심되는 경우 다음 절차대로 신속 조치
[이체·송금 피해가 있을 경우 실시]

2-1. 금융회사 피해신고 및 악성앱 삭제
■ 유출된 개인정보 관련 금융회사에 피해신고하고 지급정지 조치
■ (악성앱 설치 시) 휴대전화 초기화나 악성앱 삭제
[초기화 전까지 휴대전화 전원을 끄거나 비행기모드 전환]

2-2. 개인정보 노출사실 등록
■ 금감원 개인정보 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(pd.fss.kr)접속
■ 이용약관, 개인정보제공 등 동의 후 휴대전화 인증으로 본인 확인
■ 개인정보 노출사실을 등록하여 신규계좌 개설, 신용카드 발급 등 제한
[다른 휴대전화 및 PC 사용을 권장]

2-3. 내 계좌 지급정지(일괄 또는 부분) 신청
■ 금융결제원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(www.payinfo.or.kr)접속
■ '내계좌 지급정지' 메뉴에서 은행권, 제2금융권, 증권사 클릭
■ 공동인증서 및 휴대전화 인증(2중 인증)으로 본인 확인
■ 지급정지를 신청할 계좌를 선택 후 지급정지 신청
★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고객센터(전화)를 통해서도 지급정지 신청 가능
[다른 휴대전화 및 PC 사용을 권장]

2-4. 명의도용된 휴대전화 개설 여부 조회
■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명의도용방지서비스(www.masafer.or.kr)접속
■ 공동인증서 등으로 로그인
■ 가입사실현황조회 서비스 메뉴 클릭하여, 본인명의로 개설된 휴대전화 개설 사건여부를 확인
■ 명의도용 휴대전화가 개통된 경우, 즉시 해당 이동통신사 등에 회선해지 신청 및 명의도용 신고
■ 가입제한 서비스 메뉴 클릭하여, 본인명의 휴대전화 신규개설 차단

3. 경찰서(사이버 수사대)에서 발급한 사건사고사실확인원 등 증빙서류와 함께 지급정지 신청한 영업점에 피해구제신청 서면접수(신청일 3일 이내)
[필요서류는 방문 전 금융회사 또는 경찰서 문의]

※ 즉시 대응조치를 시행한 이후, 금융회사 및 경찰 안내 등에 따라 인증서 폐지·재발급, 신분증 분실신고 등 필요한 추가조치를 실시

금융감독원



이전글 다음글 링크
이전 글 신분증(운전면허증) 진위확인서비스 일시 중단 안내
다음 글 임시공휴일(2023년 10월 2일) 휴장 안내

Quick Menu

하이굿파워플러스 다운로드